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은 2019년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하고 2020년 오스카 시상식에서 4개 부문을 수상하며 국제적인 호평을 받은 작품입니다. 이 영화는 단순한 이야기를 넘어 복합적인 상징성을 담고 있으며, 특히 영화 속 배치 공간이 매우 독창적이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영화 속 집이라는 공간은 단순한 배경이 아니라 계급 간의 갈등을 상징하며, 디스플레이 장치로 작동합니다. 기생충은 지하, 반지하, 지상 1층, 주택의 각기 다른 공간적 층위를 통해 한국 사회의 계급 구조를 은유하며, 각 공간은 인물의 삶과 희망, 절망을 대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글에서는 기생충을 '공간'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영화 속 각 공간의 상징적 의미와 계급 갈등이 시각적으로 어떻게 표현되는지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지하와 반지하
기생충에 가장 먼저 등장하는 공간은 김씨 가족이 살고 있는 '반지하'입니다. 이곳은 지하에 반쯤 묻혀 있으며, 그들이 살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는 공간입니다. 반지하라는 공간은 빛과 어둠의 경계에 있으며, 김씨 가족은 경제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완전한 어둠에 갇힌 계급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해서 빛이 있는 세상에 속해 있는 것은 아닌 것을 말합니다. 이들은 생계를 유지하며 빛을 쫓지만, 실제로는 여전히 어둠의 가장자리에 살고 있습니다. 특히 영화 초반에 등장하는 장면에서 창문을 통해 거리를 바라보는 김기택(송강호 분)의 모습은 외부 세계에 의해 단절된 어둠 속에서도 그의 삶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또한 반지하 창문을 통한 세계관은 여전히 일부만 보여주고 있어 김씨 가족이 어떠한 희망이나 완전한 자유를 얻기 어려운 위치에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반지하 생활은 박탈감과 사회적 무력감을 상징하며 곧 등장하게 될 호화로운 집과는 극명한 대조를 이룹니다. 한편, 영화 후반부에 등장하는 박씨 가족 저택의 지하는 완전히 잊혀진 가난한 사람들의 또 다른 계급을 상징합니다. 이 지하에 숨어 있는 문광(박명훈 분)의 남편은 지하 한가운데보다 더 낮은 지하에 완전히 봉인되어 있으며 사회 밑바닥에 존재하는 사람들을 상징합니다. 그는 햇빛조차 보이지 않는 공간에 살고 있으며, 이 모습은 완전히 배제되고 잊혀진 사회적 계층을 나타냅니다.
1층의 의미
영화에서 1층은 두 계층이 만나는 중립적인 공간입니다. 김씨 가족은 박씨 가족 저택에 입주하면서 새로운 기회를 얻게 되지만 여전히, 완전한 지상에는 올라오지 못하고 올라가고픈 상태입니다.이들은 '도우미'로 집에 들어섰지만, 여기서도 완전한 주인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여전히 불안정한 존재로 남아 있습니다. 이들은 박씨 가족을 아끼고 섬세하게 삶을 관리하는 척합니다. 박씨 가족 저택은 고급스러운 인테리어와 완벽한 구조를 갖추고 있지만 내부는 여전히 불안정한 상태입니다. 어느 순간도 저택의 주인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위태로운 줄타기를 하듯 그들의 삶이 펼쳐집니다. 예를 들어 영화에서 김씨 가족이 집을 비운 사이 저택을 점령하고 잠시 '주인'으로 활동하는 장면은 일시적인 착각에 불과합니다. 잠시 권력을 잡을지 모르지만 결국 그들의 위치는 현실이 될 것입니다. 1층은 두 교실이 더 직접 만나는 공간이기도 합니다. 박씨 가족과 김씨 가족은 서로를 마주할 때 같은 공간에 있지만 그 사이에는 보이지 않는 위계적 장벽이 존재합니다. 박씨 가족은 김씨 가족을 직원으로만 보고 그들에 대한 기본적인 신뢰나 인간 존중이 부족합니다. 이 미묘한 경계는 영화 속 긴장감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며, 1층은 그 경계가 가장 명확하게 드러나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고급 저택의 상징
영화에서 박 씨 가족의 거주지는 완전히 다른 세상을 상징합니다. 이곳은 상류층의 삶을 상징하는 곳으로, 완벽한 보안과 편안함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쓰입니다.햇볕에 흠뻑 젖은 정원과 넓은 창문을 통해 보이는 세상은 김 씨 가족의 반지하와는 완전히 다른 장면을 보여줍니다. 이곳은 성공과 풍요로움을 상징하며, 김 씨 가족에게는 다른 꿈의 공간입니다. 하지만 이 공간조차도 영화 후반부에 한계를 드러냅니다. 박 씨 가족이 사는 저택은 겉으로는 완벽하지만 내면에는 불안정성이 있습니다. 이들의 삶은 겉으로는 완벽하지만 실제로는 작은 틈으로 인해 위협을 받습니다. 예를 들어, 박 씨는 부를 누리고 있지만 그와 아내의 관계는 소원하고, 보이지 않는 갈등과 불안은 그의 삶에 내재되어 있습니다. 특히 영화의 마지막 부분에서 일어나는 폭력적인 사건들은 완벽해 보이는 이 공간이 실제로 얼마나 위태로운지 보여줍니다. 박 씨 가족의 거주지는 물리적으로는 상류층과 하층층을 구분하는 공간으로 표현되지만, 상징적으로는 이 공간조차도 완벽한 방패 역할을 할 수 없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상류층의 삶이 겉으로는 안정되어 보이지만 그들 또한 사회적 갈등의 불씨로부터도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